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최저임금 2026년엔 얼마? -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by 깨르르경제쌤 2025. 7. 6.

💸 최저임금 2026년엔 얼마?
노동계 vs 경영계 팽팽한 줄다리기

매년 여름이면 뉴스에 자주 나오는 말, 바로 '최저임금'입니다. 2026년 적용될 최저임금을 두고 지금도 노동계와 경영계의 치열한 논의가 진행 중인데요. 과연 내년에는 얼마나 오를까요?

📌 최저임금이란?

최저임금은 일하는 사람이 최소한으로 보장받아야 하는 시간당 임금입니다. 이보다 적은 돈을 주는 건 법으로 금지돼 있어요.

  • 2025년 기준: 시급 10,030
  • 주 40시간 기준 월급: 약 2,096,270

즉, 모든 근로자의 기본 생계를 보장하는 최소 기준이 되는 제도랍니다.

📈 2026년 최저임금, 지금 상황은?

2025년 7월 3일, 최저임금위원회 9차 전원회의에서 노동계와 경영계가 6차 수정안을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합의에 이르지 못했어요.

  • 노동계 제안: 시급 1만1020원 (2025년 대비 9.9% 인상)
  • 경영계 제안: 시급 1만150원 (2025년 대비 1.2% 인상)
  • 양측 격차: 870원 차이

노동계는 원래 1만1500원부터 시작해 점차 낮췄고, 경영계는 1만30원에서 소폭 올리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10차 회의는 7월 8일 예정입니다.

💡 왜 매년 최저임금이 오르려고 할까요?

  1. 물가 상승: 밥값, 교통비, 전기요금 등 생활비가 오르기 때문
  2. 근로자 보호: 기본적인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3. 경제 활성화: 임금이 오르면 소비도 늘어나기 때문이에요

🧠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 시급이 오르면 아르바이트생, 청년, 단시간 근로자에게 긍정적
  • 자영업자 입장에선 인건비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
  • 전반적인 물가에도 간접 영향 가능성

🏛️ 정부는 어떤 대책을 준비하고 있을까요?

  • 소상공인 지원금 확대 – 인건비 부담 줄이기 위한 정책
  • 일자리 안정자금 – 일정 요건 충족 시 월별 현금 지원
  • 청년 채용 지원금 – 청년 고용에 혜택 제공

🗣 깨르르경제쌤의 생각

깨르르경제쌤도 영양사 시절, 알바 시급 인상이 실제 운영비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직접 경험한 적 있어요.
그래서 양쪽 입장이 모두 이해됩니다. 근로자의 권리도 중요하고, 자영업자의 생존도 중요하죠.
정답은 없지만, 서로 양보하며 모두를 위한 ‘적절한 타협점’이 만들어지길 바랍니다. 이번 결정이 단순한 숫자가 아닌, 우리 사회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준이 되기를 기대해요.

✅ 정리해볼까요?

  • 2025년 기준 시급: 9,860원
  • 노동계 제안: 1만1020원 (9.9% ↑)
  • 경영계 제안: 1만150원 (1.2% ↑)
  • 격차: 870원
  • 다음 회의: 2025년 7월 8일 예정

🧠 깨르르 퀴즈 타임!

  1. 2026년 최저임금을 두고 경쟁 중인 두 제안은 무엇일까요?
    A. 9800원 vs 1만500원
    B. 1만1020원 vs 1만150원
    C. 1만500원 vs 1만500원
  2. 최저임금이 오르면 가장 직접 영향을 받는 사람은?
    A. 외교관
    B. 알바생
    C. 은행 지점장
  3. 정부가 일자리 안정자금을 주는 이유는?
    A. 물가 안정을 위해
    B. 인건비 부담 완화를 위해
    C. 최저임금 동결을 위해

✅ 정답 확인!

  • 1번 정답: B
  • 2번 정답: B
  • 3번 정답: B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노동계가 제안한 1만1020원과, 경영계의 1만150원 중, 여러분은 어떤 쪽에 더 가까운 입장이신가요?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에 자유롭게 남겨주세요 😊